
André Sornay
Armoire
· Designer : André Sornay (1902-2000)
· Manufacture : Etablissement Sornay
· Origin : France (1950’s)
· Materia l: Mahogany with White and Gray Lacquer
· Size : H 210 cm × W 105 cm × D 60 cm
앙드레 소르네가 디자인하고 제작한 아르무아(Armoire) 입니다. 1950년대 띠게떼 시스템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컬러로 바리에이션된 모델을 볼 수 있습니다.
1950년대 소르네가 본격적으로 띠게떼 시스템을 통해 공공분야 납품을 위한 가구를 생산할 즈음에 소르네의 가장 큰 고객은 UGAP(Union Des Groupments Achats Publics)였습니다. UGAP는 공공분야 정부구매를 전담으로 하는 정부조달 에이전시로서, 리옹(Lyon) 뿐만이 아니라 프랑스 전 지역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UGAP를 통한 공공부문 납품을 확대하던 시점에 소르네는 상징적인 프로젝트를 맡게 되는데요, 그것이 바로 리옹에 건립한 공공 주택 프로젝트인 소노코트라 하우징 센터(Sonocotra Housing Centre) 입니다. 소르네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띠게떼 시스템으로만 이루어진 다양한 장식장, 책상, 의자, 아르무아 등을 생산하여 납품하기에 이르고, 지금 보시는 이 아르무아 역시 소노코트라 프로젝트를 통해 납품된 제품입니다.
아르무아의 좌측은 옷을 걸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의 수납 공간을 만들고, 오른 편은 더 작은 의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세분화했습니다.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오른쪽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신발 수납 공간인데요, 외부에서 사용하던 신발을 그대로 옷장 안에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의 하단부에 망사 철망을 설치했습니다. 신발에 붙어있는 외부의 먼지와 흙이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도록 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소르네는 지독하리만큼 단순한 기하학적 디자인과 조립과 부품 교체가 용이한 띠게떼 시스템을 통해 기능성을 추구했는데요, 자칫 지루할 수도 있는 이러한 디자인을 다양한 컬러 플레이로 보완합니다. 회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깔의 대비를 과감하게 사용함으로써 단조로움에서 탈피했습니다.
소르네의 이러한 과감한 컬러 플레이와 가구 디자인은 장 푸르베의 디자인과도 상당 부분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프랑스의 사학자들은 이러한 유사성의 연결고리를 샤를 모렐렙(Charles Morel-Lab) 이라는 사람에게서 찾고 있습니다. 샤를 모렐렙은 소르네 처제의 남편이었고, 소르네와 같은 에꼴 데 보자르(Ecole des beaus-arts in Lyon) 출신으로 소르네 만큼 혹은 이상으로 성공한 가구 디자이너였습니다. 샤를 모렐렙은 가문의 사업인 가구 공방을 이어받아 다양한 가구를 생산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그가 1922년 향한 곳은 바로 낭시(Nancy)에 있는 에꼴 데 낭시(Ecole Des Nancy)로 이 곳은 장 프루베의 아버지인 빅터 푸르베(Victor Prouve)가 학장으로 있는 곳이었습니다. 샤를 모렐랩은 빅터 푸르베로부터 사사받고 장 푸르베와 같은 작업실에서 수학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리옹으로 돌아온 샤를 모렐랩은 동서지간이자 같은 가구 제작자로 소르네와 평생 가까이 지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쳤는데요, 이후 소르네의 컬러 플레이는 샤를모렐랩과의 평생의 교류를 통해서 구현 되었다고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러한 유사성을 잘 확인할 수 있는 곳이 한국에도 있는데요, 바로 양평 구하우스에 있는 장 푸르베의 방입니다. 다양한 장 푸르베의 가구와 소르네의 아르무아가 한공간에 있으면서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